학점은행제 일반편입 인서울 대학 잘못알려진 정보 바로잡기

학점은행제 일반편입 인서울 대학 잘못알려진 정보 바로잡기

학점은행제 일반편입 진실

목차

“학점은행제로 인서울 일반편입은 불리하다”
“학사편입만이 답이다”

뭐 그런 풍문에 휘둘리고 있다면 클릭은 적절했습니다.

하지만 실제 입시 데이터를 들여다보면, 이런 말들이 꼭 맞는 건 아닙니다. 오늘은 학점은행제로 일반편입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이 자주 접하는 오해들을 조목조목 짚어보고, 인서울 대학 중심으로 바로잡아 드리겠습니다.


‘학점은행제는 일반편입에 불리하다’는 말

결론부터 말하면, 학점은행제 출신이라는 이유만으로 탈락하는 일은 없습니다.

하지만 완전히 같은 조건이라면, 일부 대학에서는 정규대 졸업생에게 더 우호적으로 보일 수는 있겠죠?

그러나, 그것도 그냥 느낌적인 느낌일 뿐

왜 이런 말이 나올까요? 인서울 대학들은 대부분 편입영어나 편입수학 같은 필기시험 결과를 중심으로 평가합니다. 대입에서 어떤 고등학교를 졸업했는지가 중요하지 않듯 말이죠.

영어·수학 실력이 당락을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한 문제 더 맞추는 게 결정적일 수 있는 상황에서, ‘출신 배경’보다 ‘점수’가 훨씬 강력하게 작용하죠.

물론 서류 평가를 포함하는 학교들도 일부 있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일부 인문·자연계열 학과에서는 2단계 전형으로 서류를 반영하며, 여기에서 전공 적합성, 학업계획서 등에서 격차가 날 수 있는데요.

그렇게 지엽적인 것을 전체의 것으로 보면 안됩니다. 삶이 피곤해져요.

  • 영어/수학 필기 고사 중심 → 학점은행제도 충분히 경쟁 가능

즉, ‘학점은행제이기 때문에 불리’한 게 아니라, 대비가 부족한 지원자가 불리한 것인데, 원인을 다른 데 돌린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편입의 경쟁자들은 누구일까?

일반편입 전형의 나의 경쟁자들이 누구일지 가늠해봅시다.

4년제 대학에서 2학년을 마친 학생들이 많겠죠? 특히 인서울권에서 휴학 후 편입을 시도하는 경우도 더러 있겠죠?

그런데, 보통 그정도 의지가 있는 친구들이라면 애초에 ‘수능 시장’으로 빠졌을거구요.

그리고 그 인서울권 친구들은 본인이 다녔던 대학 레벨보다 훨씬 더 높은 곳을 바라볼 것입니다.

다음으로 학점은행제를 통한 일반편입 지원자하는 나의 경쟁자들은 누굴까?

고졸부터 대학교 1학년 다녀보니 이건 아니다 싶어서 휴학후 학점은행제를 하는 케이스일겁니다. 이들은 전문학사 과정을 통해 일반편입 기준인 ‘2학년 수료 또는 준학사 취득’ 요건을 만족시키며 시험에 도전합니다.

편입 시장의 경쟁자 배경은 정말로 다양합니다. 다만 수능은 기존에 공부 꾀나 하던 친구들이 즐비한다면 편입은 4~7등급 출신까지 도전하는 만큼 패자부활전 느낌이 강합니다.


일반편입보다 학사편입이 유리하다는 말

매년 회자되고, 오늘도 들은 질문

Q: 학사편입이 일반편입보다 훨씬 유리한가요?

A: 결론부터 말하면, 전형 구조와 목표 대학에 따라 다릅니다.

학사편입은 경쟁자 수가 적고, 진입 장벽이 높은 만큼 실질 경쟁률이 낮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일반편입은 자격 요건이 간단하고 모집 인원도 많은 대신, 지원자가 몰려 허수 경쟁자도 늘어납니다.

아래는 실제 한 대학의 전형별 모집인원 일부입니다:

학과일반편입학사편입
경영학부11명8명
기계공학부8명5명
영어영문학과5명2명

어떤가요 가늠이 되나요?

아마 판단이 힘들겁니다. 모집 인원에서 보듯, 일반편입의 문이 더 낮죠. 하지만 학사편입은 지원 자격을 맞추는 데 시간과 비용이 더 들어갑니다. 학사 학위 취득까지는 학점은행제를 기준으로 하더라도 1년보다 더 걸릴 수 있어요.

보통 편입 준비생들의 고민은 이겁니다.

공부 베이스가 전혀 없는데…

그렇다보니 학점은행제 하랴 영어공부하랴 어떻게 둘 다 하느냐겠죠.

그런데, 그 정도 각오도 없이 인서울대학에 어떻게 진입하고, 어떻게 대학생활을 보내려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인생은 내가 책임지는 것

현재 여러분의 목표는 무엇인가요?

일단 시작은 ‘잘못된 정보 걷어내기’입니다. 그리고 오늘, 그 첫 단추를 제대로 끼운 것 같아요. 그 다음 몫은 여러분에게 달려 있습니다.

문의 / 댓글 남기기

Contact Form Demo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