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시험을 보려면, 36학점만 이수하면 되나요?”
어제 H 학우님이랍니다.
바쁜 직장인, 주부, 만학도 등 많은 분들이 학점은행제를 찾고 있어요. 하지만 상담 과정에서 제대로 된 교육 과정을 안내받지 못하는 경우도 적지 않답니다. 그래서 오늘은 학점은행제 학사학위 과정을 고민하시는 여러분을 위해, 비용 절약의 함정과 현명한 선택의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해요.
Table of Contents

1. 학점은행제 비용은 정확한 학위 종류 선택이 먼저!
“학점은행제가 뭔가요?”라는 질문은 이 과정을 시작하는 첫걸음이죠. 대부분 학점은행제는 ‘대학’의 한 종류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전문대, 사이버대, 4년제 대학처럼 학점은행제도 다양한 학위를 제공해요.
H 학우님은 이미 2년제를 졸업하셨기 때문에, 전기기사 시험을 목표로 한다면 전문학사가 아닌 학사학위를 선택해야 합니다. ⚡ 왜냐하면, 전기기사 응시 조건에 맞춰야 하기 때문이죠.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 학위 선택에 따라 시간과 비용이 크게 달라질 수 있어요. “제대로 된 길을 택해야 앞으로의 여정이 순탄해진다”는 속담이 있죠? 목표에 맞는 학위 선택이 바로 그 시작입니다.

학위는 크게 4가지(전문학사 타전공, 전문학사, 학사 타전공, 학사)가 있으나 비교를 위해 3가지만 나열했습니다.
이유가 하나 더 있는데 2년제 졸업자이므로 학사 타전공을 제외하고 나머지 3개 학위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선택할 수 있는 게 3가지라면, 그중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자신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학위를 선택하면 됩니다.
그래서 전문학사 타전공이 아닌 학사를 말씀드린 것인데 H 학우는 계속해서 전문학사 타전공을 고집했습니다. 아무래도 다른 교육원, 멘토에게 잘못된 상담을 받은 게 아닌가 싶었습니다.

2. 전문학사 vs 학사
전문학사와 학사는 많이 다릅니다. ⚖️ 전문학사는 전기전공으로, 학사는 전기공학전공으로 커리큘럼이 구분됩니다. 이 차이가 향후 학점은행제 학사학위 과정에서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답니다.
전문학사로 36학점을 이수하면 된다고 들었을 수도 있어요. 하지만! 전기기사를 목표로 한다면, 전문학사는 적합하지 않아요. 이유는 간단해요. 전문학사로는 기사 응시 자격을 충분히 충족할 수 없기 때문이죠.
반면, 학사 – 전기공학으로 진행할 경우, 충분한 과목이 개설된 ‘원격’ 교육훈련기관에서 학습할 수 있어요. 게다가 학사학위를 취득하면 전기공학 4년제 졸업장까지 얻을 수 있어요. 이쯤 되면 선택의 중요성을 실감하시죠?
그러니까 인터넷에 나와 있는 36학점, 140학점만 보고서 판단하면 안 되는 것입니다. 이런 표면적인 것만 따라가면 오히려 학점은행제 비용이 더 들어가게 되는 역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3. 학점은행제 비용 계산 방법
그럼 이제 학점은행제 학사학위 비용을 한번 계산해볼까요?
- 36학점 진행 시: 전기 전공 학점당 비용 X 36 = 총 등록금
전문학사 타전공으로 선택했을 경우, 위와 같은 방식으로 비용이 산정돼요. 하지만 이게 끝이 아니죠.
- 학사 진행 시: 저렴한 교양 학점당 비용 X 26 = 총 등록금
학사 과정에서는 교양 과목을 선택할 수 있어요. 특히, 전문대 졸업자는 최대 80학점까지 전적대를 가져올 수 있어요. 이렇게 되면 기사 응시를 위해 필요한 106학점 중, 모자란 26학점만 이수하면 되는 거죠. 교양 과목을 선택할 때 학점당 단가도 많이 낮아지니, 비용 절약에 큰 도움이 돼요.
4. 5분만에 학습설계 끝내는법

찾고 계신 그 학점은행제 맞습니다!
▶▶ 이어가면 도움될 연재글

학점은행제 학사학위 단 8개월 만에 끝낸 비결
▶▶ 10년차 멘토에게 카톡질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