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숭실대 편입요강 이공계열 경쟁률 수학 영어 난이도
목차
서울 주요 대학 편입학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에게 ‘숭실대 편입’은 현실적인 목표로 자주 언급된다.
특히 이공계열에서 인지도와 선호도가 동시에 높은 편이어서 관심도 또한 꾸준하다
매해 편입요강이 세밀하게 바뀌는 경우가 많다. 예비 수험생 입장에서는 무엇부터 파악해야 할지 막막할 수 있다.
‘숭실대 편입요강’, 특히 이공계열 중심으로 전형 방법, 경쟁률, 시험 난이도 등 핵심 정보를 항목별로 정리해본다. 기초 자료로 삼기에 충분할 것이다.
경쟁률로 보는 인기 학과 흐름
2024학년도 기준 숭실대학교 이공계열 편입학 경쟁률은 다음과 같다. 일반 편입은 컴퓨터학부가 23.6:1로 가장 높았고, 그 외 전자정보공학부(18.7:1), 기계공학부(14.1:1)가 뒤를 이었다. 반면 학사 편입은 경쟁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며, 컴퓨터학부가 5.4:1로 상위권을 유지했으나 전체적으로는 일반 편입보다 여유가 있는 편이다.
| 학과 | 전형 | 경쟁률 |
|---|---|---|
| 컴퓨터학부 | 일반 | 23.6:1 |
| 전자정보공학부 | 일반 | 18.7:1 |
| 기계공학부 | 일반 | 14.1:1 |
| 컴퓨터학부 | 학사 | 5.4:1 |
| 전자정보공학부 | 학사 | 4.3:1 |
| 기계공학부 | 학사 | 3.6:1 |
일반 편입 전형에서는 복수 전공 수요가 높은 전자·기계·컴퓨터 계열이 꾸준히 상위권이다.
경쟁률은 연도별 등락이 존재하지만 10:1 이상이 다수이며, 특히 컴퓨터학부는 매년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한편 학사 편입의 경우 지원자 풀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전반적인 경쟁률이 낮게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TO 자체도 소수이므로 ‘낮은 경쟁률 = 유리한 구조’라고 단정하긴 어렵다.
숭실대 이공계열 전형 방법
| 전형 | 반영 과목 | 문항 수 | 시험 시간 |
|---|---|---|---|
| 일반 | 영어, 수학 | 50문항(25+25) | 90분 |
| 학사 | 영어, 수학 | 50문항(25+25) | 90분 |
반영 방식은 계열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이공계열에서는 수학의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된다. 숭실대의 경우 수학이 고등학교 수준 응용문항 위주로 구성되며, 일부 학과에서는 과목별 커트라인 없이 통합 점수만을 활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동일한 전형 구조라도 학과에 따라 실질 반영 효과는 다를 수 있다.
영어가 관건? 시험 난이도 팩트 체크
- 영어는 독해 비중이 높은 편이며, 단문보다는 중·장문 중심의 구조
- 어휘 수준은 대학 중급 수준으로 어휘력이 중요한 요소
- 수학은 고등학교 수준의 응용문제 비중이 크고, 시간 대비 난이도 체감도 큼
- 시험 시간은 90분이지만 과목당 제한 시간은 없는 통합 구성
수험생 다수는 수학에서 ‘시간 압박’을 실질적인 난이도로 지목했다. 문제 자체 난이도보다도 풀이 속도, 연산 집중력이 성패를 좌우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한편 영어는 단순 암기형 문항보다는 사고력을 요하는 지문 해석형 문제가 다수를 차지했다. 숭실대 특성상 변별력을 확보하기 위해 특정 유형을 반복하기보다는 해마다 일부 출제 구성이 달라지는 특징도 확인된다.
수험생이 말하는 숭실대 편입 준비 팁
[사례 1]
A 수험생은 전자정보공학부 일반 편입에 최종 합격했다. 수학에 강점이 있었지만 영어는 다소 약해 초반에는 점수 격차가 컸다고 언급했다.
[사례 2]
B 지원자는 학사 편입으로 컴퓨터학부에 지원해 합격했다. 지원 당시 필기시험 대비에 집중했고, 기출 문제 중심으로 6개월 이상 학습한 것이 결정적이었다고 회고했다.
- 전형 구조가 단순하다고 느껴져도 과목별 전략은 명확히 분리해야 한다.
- 기출문제 유형 파악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며, 1회독만으로는 체화되지 않는다.
- 학사 편입은 경쟁률이 낮아 보여도 TO가 적어 실수 한 번이 치명적일 수 있다.
27년 입학 이제 시작해야
숭실대학교 이공계열 편입학은 전형 구조상 비교적 간결하지만, 실제 수험자 입장에서는 전략적 접근이 요구된다. 경쟁률 분포, 전형 방법, 시험 구성, 실전 사례까지 살펴본 내용을 바탕으로, 본인의 전공과 학력 배경에 맞는 맞춤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올해 지원을 고려하고 있다면 전년도 데이터를 기준으로 과목별 공부량, 예상 난이도, 실전 점검 순서까지 사전에 구조화된 계획을 수립해보자.
함께 읽으면 좋은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