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공자 건축기사 취득 건설경력수첩 초급까지 올린썰

비전공자 건축기사 응시자격

비전공자 건축기사 취득 건설경력수첩 초급까지 올린썰

목차

“비전공자는 건축기사 못 딴다던데요?”

어설프게 아는건 모르는거나 마찬가지다. 특히 고졸자나 전공이 전혀 다른 분야인 분들이 먼저 부딪히는 벽이다.

하지만 결론부터 말하면, 가능하다. 제도는 분명히 열려 있고, 조건을 채우는 방법도 꽤 현실적이다. 건축기사 응시자격을 갖추는 루트부터 고졸자가 경력수첩 초급을 확보한 사례까지 정리했다.


건축기사 응시자격, 자주 헷갈리는 조건들

‘누구나 응시할 수 있는 시험’은 아니다. 자격 조건이 꽤 세분화돼 있고, 단순히 “대학교 나왔다”로는 부족한 경우도 많다.

학력/경력 분류응시 조건 요약주의 포인트
4년제 졸업(예정)관련 학과: 응시 가능
비전공: 동일·유사 실무 3년 필요
관련 학과는 4학년 1학기부터 가능
2/3년제 전문대관련 학과: 졸업 + 실무 1~2년
비전공: 실무 3년
2년제=2년 / 3년제=1년 실무 필요
산업기사 취득자산업기사 자격 + 실무 1년 이상자격증 선취득 시 유리
순수 경력자동일·유사 분야 실무 4년 이상군 복무·비보험 근무도 조건 충족 가능
학점은행제 이용106학점 이상 이수비전공자의 현실적인 방법

→ 표를 보면 알겠지만, 비전공자라고 막막해할 필요 없다. 실제로 ‘학점은행제’로 106학점만 이수하면 학력이나 실무 없이도 응시할 수 있다.

Q: 군 복무도 경력으로 인정되나요?
A: 주특기가 건축 시공, 설계, 감독 분야였다면 병적증명서로 증빙 가능하다.

Q: 4대 보험 안 되는 곳에서 일했는데요?
A: ‘사실확인서’나 프리랜서 계약서·세금 납부 내역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조건만 맞다면, 꼭 학사 졸업이 아니어도 방법은 있다.


건설경력수첩 바로알기

건축기사 자격 취득하는 이유 바로 건설경력수첩 아닐까 싶다.

핵심은 ‘역량지수’다. 아래의 공식으로 등급이 산정된다.

역량지수 = 자격지수(40) + 학력지수(20) + 경력지수(40) + 교육지수(5) – 감점(3)

등급역량지수 기준초심자 해당 가능성
특급75점 이상X
고급65~74점X
중급55~64점△ (경력 조건 필요)
초급35~54점O (진입 가능)

즉, 총점 35점만 넘기면 초급으로 경력수첩 발급이 가능하다. 실제로 비전공자의 경우 자격지수(30점, 건축기사) + 학점은행제(학력지수 10점)만 해도 딱 40점이다. 여기에 교육 이수 35시간으로 교육지수 1~2점 보탤 수도 있다.

단, 중급 이상으로 올라가려면 ‘경력지수’가 필수다. 이때는 실무 일수를 기반으로 계산하는데, 보험 가입 기간 기준이며 0~40점까지 가변적이다.

정리하면, 비전공자도 건축기사 취득과 동시에 초급 기술인 경력수첩 확보는 충분히 가능하다.


비전공자 사례 소개

“대학도 안 나왔고, 알바하면서 살았어요. 그런데 지금은 건축설계팀에서 일하고 있어요.”

당연히 처음엔 ‘건축기사’라는 단어조차 생소했다. 하지만 전문기술이 있어야 앞으로의 삶이 바뀔 수 있다는 생각에 도전하게 됐다.

관련 학력이나 실무 경력도 없었다. 그래서 선택한 건 학점은행제 106점 루트. 단 3학기만에 이수를 마쳤고, 큐넷 시험에 응시했다.

현재는 필기를 통과하고, 실기까지 준비한 뒤 건축기사 자격을 취득했다. 초급 건설경력수첩도 발급받았다.

  • 학점은행제는 단기간(3~5학기) 안에 자격 조건 충족이 가능
  • 건축기사 자격 자체가 자격지수 30점이므로, 다른 항목과 합산 시 초급은 확보 가능
  • 관련 학력이나 실무가 없더라도 진입은 가능하다.

정리하면서

혹시라도 지금 “나는 안 될 거야”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면, 자격 조건부터 다시 한 번 점검해보자. 그 출발이 인생의 방향을 바꿔줄 수도 있다.

문의 / 댓글 남기기

Contact Form Demo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